독일 동포 미디어 베를린리포트
커뮤니티 새아리 유학마당 독어마당
커뮤니티
자유투고
생활문답
벼룩시장
구인구직
행사알림
먹거리
비어가든
갤러리
유학마당
유학문답
교육소식
유학전후
유학FAQ
유학일기
독어마당
독어문답
독어강좌
독어유머
독어용례
독어얘기
기타
독일개관
파독50년
독일와인
나지라기
관광화보
현재접속
258명
[유학문답] Aller Anfang ist schwer. 여기서 도움을 얻으신 분은 유학 오신 후 유학준비생들을 도와주시길. 무언의 약속! 구인구직이나 방 혹은 연습실을 구하실 때는 이곳 유학문답이 아니라 다른 게시판을 이용하세요.

독일 유학 어떻게 진행해야 될까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걸음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3건 조회 6,564회 작성일 08-08-27 06:53 답변완료

본문

베를린에서 박사 과정 공부(인문계열입니다)를 하고 싶어서 유학을 가려고 합니다. 현재 생각으로는 남은 시간동안 빨리 추진해서 10월 경 출국하기를 원하고요.

한국에서 공부를 조금 하긴 했지만 아직 언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어학원을 등록해서 내년 초에 DSH나 Test-DAF를 패스하고 각 대학의 교수들과 약속을 잡고 직접 면담해서 박사 과정 진학을 타진해볼 생각입니다. 한참 고민하다가 입시학원같다는 평이 있지만 DSH나 Test-DAF 준비에 강점이 있다는 하트낙슐레를 어학원으로 정했습니다.

여기서 드리고 싶은 질문은,

1. 시간적으로 9월 한 달이 제게 주어진 것인데 이 시간 동안 "어학원 등록→재정보증서 취득→비자 취득→베를린 지역 숙소 계약→한국 교수님들에게 미리 추천서 받기→비행기표 예약→출국"을 진행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준비 과정 중에 혹시라도 누락된 것이 있나요?

2. 하트낙슐례 등록은 홈페이지 하단에서 E-Mail을 보내면 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언제 부터 학교를 다닐 수 있는가? 한국에서 300시간 가량의 어학을 했는데 어느 레벨에서 시작하는가? 만약 한다면 레벨 테스트는 어디서 언제 보는가? 기숙사 중계를 해주는가?" 등등을 묻고 싶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3. 어학원 등록과 더불어 또 하나의 고민은 숙소입니다. 독일에 연고도 없고 아는 사람도 없어서 그냥 인터넷으로 알아봐서 계약해야 되는데 그만큼 리스크가 커서요. 숙소 구하는데 좋은 노하우가 있을까요? 만약 한인 민박 같은 곳에서 1-2달 머문 후 다시 숙소를 찾아야 된다면 안전한 루트를 알려주시면 대단히 감사드리겠습니다.

4. 한국에서 석사를 했고 나이가 나이인지라 가능하면 바로 박사과정을 들어가고 싶은데 어떤 스킬이나 서류가 필요할까요? 모교의 교수님들께 추천서는 출국 전에 미리 받아두려고 하는데 경우에 따라 추천서가 강력하게 작용하는지요. 바로 인문계열 박사과정 지원에 대한 경험담이나 노하우를 듣고 싶습니다.

장문의 질문을 읽어주시고 성실하게 답변해주시는 분들께 미리 감사를 드립니다.
추천0

댓글목록

마이티마우스님의 댓글

마이티마우스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시간적으로 9월 한 달이 제게 주어진 것인데 이 시간 동안 "어학원 등록→재정보증서 취득→비자 취득→베를린 지역 숙소 계약→한국 교수님들에게 미리 추천서 받기→비행기표 예약→출국"을 진행할 수 있을까요?
-> 제가 보기엔 절대 불가능합니다. 어학원 등록은이나 재정보증서는 그렇다고쳐도 만일 독일 입국 허가서 VISUM을 한국에서 받고 오시길 원하신다면 최소 3개월을 잡아두셔야 합니다.

하트낙슐례 등록은 홈페이지 하단에서 E-Mail을 보내면 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언제 부터 학교를 다닐 수 있는가? 한국에서 300시간 가량의 어학을 했는데 어느 레벨에서 시작하는가? 만약 한다면 레벨 테스트는 어디서 언제 보는가? 기숙사 중계를 해주는가?" 등등을 묻고 싶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직접 말씀을 하셨네요. 이메일을 보내서 물어보세요. 하지만 일반적으로 어학원 홈페이지에 이러한 내용들에 관한 자세한 설명이 올라와 있습니다. 홈페이지에 Kurse->Deutsch->DaF-Global 그리고 DaF-Pruefung 및 FAQ란에 모두 있네요

어학원 등록과 더불어 또 하나의 고민은 숙소입니다. 독일에 연고도 없고 아는 사람도 없어서 그냥 인터넷으로 알아봐서 계약해야 되는데 그만큼 리스크가 커서요. 숙소 구하는데 좋은 노하우가 있을까요? 만약 한인 민박 같은 곳에서 1-2달 머문 후 다시 숙소를 찾아야 된다면 안전한 루트를 알려주시면 대단히 감사드리겠습니다.
-> 어차피 한국에서는 계약이 불가능합니다. 독일의 집을 계약하려면 직접 방을 내놓는 사람하고 만나서 이런 저런것도 알아 봐야 하고 신분증도 제시해야 하고 그리고 결정적으로 직접 날인하고 계약서를 서로 주고 받아야 하는데 이게 안되면 계약 자체가 성립되지 않습니다. 뿐만 아니라 얼굴도 모르는 외국인하고 그냥 갑자기 온라인상으로 계약을 할 리가 없겠죠 이쪽사람들 입장에서도.....보통은 그래서 Zwischenmieter로 잠시 들어와서 살면서 첫달간 사는 동네 어학원이나 주변 사람들 등을 통해서 집을 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마지막 질문에 대한 답변은 제가 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니네요. 다른 분께서 잘 도와주실겁니다 ^-^

구단님의 댓글

구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대한민국은.. 자랑스럽게도(?) 독일과의 비자협정을 맺은 나라중 최우수 수혜 7개국 중 한나라 입니다.

작년인가 재작년인가부터요. 그래서 그냥 여권하나 달랑 들고 오셔서 집계약하고 보험가입하고 나서

비자(엄밀히 말하면 체류허가증)를 바로 발급해줍니다. 어학비자든 학생비자든요....

(취업비자는 잘 몰라서 생략 ^^;;)

어차피 한국 주한독일대사관에서 비자를 발급받고 오신다해도 3개월 이상 비자는 안주고...

어차피 여기 와서 집구하고 보험들고 그런 기본적인 일련의 과정을 다 거쳐야 하고.....

어차피 한국서 받아온 3개월비자 만기 되기전에 다시 체류증으로 바꿔야 하기때문에

그냥 비자없이 오셔서 여기서 바로 신청을 하시는게 좋다고 생각되네요.

독일대사관에서 비자 발급받는데도 시간이 (4주 남짓 또는 그 이상) 소요되고..

일단 오셔서 석달안에 처리하시면 되시리라고 봅니다.

dol님의 댓글

dol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나머지는 위에 다른분들이 다 자세히 설명해 주셔서 생략하고요..
교수님 추천서 독일이 한국보다 더 강력하게 작용합니다.
또한 나중에 장학금 신청할 때나 여러모로 비록 한국교수님들의 추천서지만
그래도 받아 오실수 있을 때 충분히 받아 오시면 유용하게 쓰일때가 있을것 같네요.

유학문답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66 orkan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6990 01-12
65 쿨하니이름으로 검색 7558 01-12
64 이정란이름으로 검색 7215 01-12
63 lio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6842 01-12
62 lustok이름으로 검색 7908 01-12
61 쿨하니이름으로 검색 6899 01-12
60 철이이름으로 검색 8354 01-12
59 쿨하니이름으로 검색 6645 01-12
58 lio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7141 01-12
57 정대철이름으로 검색 6955 01-12
56 정대철이름으로 검색 7144 01-12
55 유연주이름으로 검색 7754 01-12
54 유학예정자이름으로 검색 9569 01-12
53 디노이름으로 검색 7547 01-12
52 디노이름으로 검색 8780 01-12
51 쿨하니이름으로 검색 6491 01-12
50 광이기이름으로 검색 8290 01-12
49 이름으로 검색 6539 01-12
48 아녕이름으로 검색 6952 01-12
47 아녕이름으로 검색 7459 01-12
게시물 검색
 
이용약관 | 운영진 | 주요게시판사용규칙 | 등업방법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비밀번호분실/재발급 | 입금계좌/통보방법 | 관리자문의
독일 한글 미디어 베를린리포트 - 서로 나누고 돕는 유럽 코리안 온라인 커뮤니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