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동포 미디어 베를린리포트
커뮤니티 새아리 유학마당 독어마당
커뮤니티
자유투고
생활문답
벼룩시장
구인구직
행사알림
먹거리
비어가든
갤러리
유학마당
유학문답
교육소식
유학전후
유학FAQ
유학일기
독어마당
독어문답
독어강좌
독어유머
독어용례
독어얘기
기타
독일개관
파독50년
독일와인
나지라기
관광화보
현재접속
80명
[유학문답] Aller Anfang ist schwer. 여기서 도움을 얻으신 분은 유학 오신 후 유학준비생들을 도와주시길. 무언의 약속! 구인구직이나 방 혹은 연습실을 구하실 때는 이곳 유학문답이 아니라 다른 게시판을 이용하세요.

음대 이론,시창청음 시험에 관해서 궁금합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4건 조회 3,554회 작성일 14-08-03 16:13

본문

안녕하세요~항상 베리의 친절한 답변에 도움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저는 comosition 학사를 지망하고 있는데요
이론,시창청음 준비를 보통 몇개월 잡고, 어떤 방식으로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독학으로도 많이 하시는지,레슨을 많이들 받으시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한국에서 준비하는게 좋을지, 독일에서 준비하는게 좋을지도 좀 고민이 됩니다..

시창청응은 하나도 안해봤구요, 음정이나 코드는 대략적으로 알고
기초 용어나,기호,개념 같은 것 들이 약한 편입니다!

추천0

댓글목록

꼬인머리님의 댓글

꼬인머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심연 님의 글을 한번씩 다 읽어보고 답변드립니다.
솔직히 좀 많은 어려움이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독일어도 오셔서 하셔야 되고 음악적인것도 기초적으로 필요한것들이 준비되 있지않은것 같아서요.
시창청음 한번도 안해보셨다고 하니 말해도 이해 못하실거고 음정이나 코드를 대략적으로 알고 있으시다면 아니되옵니다. 음정이나 코드는 기본중의 기본이라 대략알아서는 아니되옵니다.기초용어나 기호 개념도 약하시면 아니되고 강하게 아셔야합니다. 그리고 특별히 잘하는 악기가 없으시다고 했는데 그것도 기본중의 기본입니다.
독일에서 작곡으로 대학을 들어가시는건...기본으로 피아노로 본인이 표현해야할것들을 표출할줄 알아야하고 기본으로 청음이나 시창이 되야되고 일반 음악이론역시 기본으로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더욱이 독일어도 다른 음악학과와는 다르게 더 잘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것들은 역시 기본조건입니다. 이게 다 잘 준비되도 심연 님 곡의 취향이나 음악성으로 만들어진 작품들이 작곡 교수들이 봤을때 그저 별볼일 없는 것들이라면 기회가 없습니다.

그런데.......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 뒤집을수 있는 역전의 기회가 있다면...님의 작품...준비하신 작곡품들이 천재적으로 뛰어나다면 제가 말한거 다 무시하셔도 됩니다.그냥 조금 뛰어난거 말고 정말 기발하게 뛰어나야 합니다. 그렇다면 학교 들어가실수 있을겁니다.

보통 독일에 작곡으로 시작하시려 하시면 2년 넉넉히 잡고 계속 어학하면서 작곡시험에 필요한 기본을 준비하면서 시험 가능한 많이 보면 됩니다. 암튼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건 입시시험때 보는 것들은 기본중의 기본이라 필수로 다 할줄 알아야 하며  님의 작품역시 좋아야 한답니다.

그렇지만 열심히 하시고 계속 두드리면 할수 있을겁니다. 힘내세요!

공연하루전님의 댓글

공연하루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이론,시창청음 준비를 보통 몇개월 잡고, 어떤 방식으로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독학으로도 많이 하시는지,레슨을 많이들 받으시는지 궁금합니다 -- 독학으로 물론가능하겠지만 , 레슨 받으시면 , 아마 시행착와 시간을 많이 절약할수있지않을까생각합니다.
그리고 한국에서 준비하는게 좋을지, 독일에서 준비하는게 좋을지도 좀 고민이 됩니다.-- 무엇이 부족하고 무엇이 장점인지 파악을한후에  나라 별로 각기 장단점을 추려보면 , 도움이될것같습니다.

시창청응은 하나도 안해봤구요, 음정이나 코드는 대략적으로 알고
기초 용어나,기호,개념 같은 것 들이 약한 편입니다! ----- 무엇을 곡을쓸것인지 머릿속에 있다면 , 표현하는 연습을 하는데 중점을 두면 조히않을까생각합니다. 각 음정들에대한 색깔이 충분히 파악될때 좋은 코드 또는 하모니 를 쌓을수있지않을까생각합니다. 본인이 좋아하는 음정들을 잘활용하는것도 좋은방법이구요. 작곡자마다 즐겨쓰는 음정을 알아두는것도 좋은방법일듯합니다. 독일뿐 아니라 유럽 전채가 작곡 바첼러 공부를 한다면 , 현대음악일 것입니다. 다시말하면 ,바로크시대의 형식과 고전의 형식 낭만 ,등등 은 다 안다는전제하에 그형식을 께트리는 공부를 하는것이죠.시험때 나오는 콘트라뿐드 는 충분히 연습하면 좋은결과 가있을듯합니다. 그리고 푸가도 시간을 들여 천친히 공부하신다면 좋은결과가있으시라 생각합니다. 중요한것은 이모든것이 기본적으로알아할것들입니다.전형적인 하모니 구성과 카덴자는 배우지않습니다. 재미있고 참신한 아이디어가있으면 , 곡을 스케치한후에 ,독일교수에게 가이드라인 받는것도 도움이될것같네요.
참고만하시라고 남김니다. 그럼 즐겁게 준비하세요

몽무님의 댓글

몽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저도 심연님 글을 다 읽어보았는데요, 제 생각엔 독일 음대의 커리큘럼은 심연님이 배우고 싶어하시는 음악과는 거리가 먼것 같아요. Elektronishe이던 Instrumentale이던 Neue Musik을 배우거든요.
http://www.youtube.com/watch?v=TPt2gz3wW5U
드레스덴 음대 작곡과 교수의 곡인데 한번 들어보세요.

franktunes님의 댓글

franktunes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미국 어떠신가요?
저도 한국나이로 20 살이 되어서야 음악을 시작했는데요..
님 처럼 이론이나 훈련 같은게 거의 안 되어 있었습니다.

요점부터 말씀 드리자면,
전 미국 보스턴에 있는 버클리 음대에 오디션도 보고 독일 프라이부르크에 있는 실용음대(버클리와 자매결연이 맺어져있는 학교) 에도 오디션을 봤습니다.
두군데 다 합격을 했지만 버클리는 오디션을 볼때 이론과 이어 트레이닝에 많은 중점을 두진 않더라고요,
반면 독일 학교는 메이저 마이너 스케일/코드를 벗어나 모드와 세븐 등 비교적 기본기를 엄격하게 보더라구요...
그래서 독일에 있는 학교는 결국 수습으로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ㅜ ㅋㅋㅋ

결론적으로 미국에 학교 하나 독일에 학교 하나, 이렇게 오디션을 봤지만
분위기가 좀 달랐습니다. ㅎㅎ
미국 학교는 개인적인 스토리나 가능성, 발전 여부에 거의 집중하다 시피 했고
독일은 그래도 어느정도 기본이 되어있는 학생을 원하는것 같았어요!

저의 편협하고 짧은 지식입니다만
다양한 사람들의 다양한 의견을 들어보시는게 좋으실것 같아서 감히 적어봅니다!
화이팅 하십쇼!

유학문답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4 심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57 10-04
13 심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9 09-15
12 심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2 09-14
11 심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759 08-25
10 심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7 08-21
9 심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3 08-19
8 심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53 08-18
7 심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57 08-17
6 심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332 08-16
열람중 심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555 08-03
4 심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59 08-01
3 심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07-29
2 심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63 07-28
1 심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07-20
게시물 검색
 
이용약관 | 운영진 | 주요게시판사용규칙 | 등업방법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비밀번호분실/재발급 | 입금계좌/통보방법 | 관리자문의
독일 한글 미디어 베를린리포트 - 서로 나누고 돕는 유럽 코리안 온라인 커뮤니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