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동포 미디어 베를린리포트
커뮤니티 새아리 유학마당 독어마당
커뮤니티
자유투고
생활문답
벼룩시장
구인구직
행사알림
먹거리
비어가든
갤러리
유학마당
유학문답
교육소식
유학전후
유학FAQ
유학일기
독어마당
독어문답
독어강좌
독어유머
독어용례
독어얘기
기타
독일개관
파독50년
독일와인
나지라기
관광화보
현재접속
302명
[자유투고] 자유·토론게시판 - 타인에 대한 약간의 배려 말고는 자유롭게 글을 쓰시면 됩니다. 어떤 글이든지 태어난 그대로 귀하지 않은 것이 없으니 <열린 마음>(타인의 흠결에 대해 관대하고 너그러움)으로 교감해 주세요. 문답, 매매, 숙소, 구인, 행사알림 등은 해당주제의 다른 게시판을 이용하세요. 이런 글은 게시판 사정에 따라 관용될 때도 있지만 또한 관리자의 재량으로 이동/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펌글은 링크만 하시고 본인의 의견을 덧붙여 주세요.

공병호 연구소장의 주장?…

페이지 정보

작성자 Grund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6건 조회 2,599회 작성일 04-12-31 00:50

본문

독일 현대사의 교훈 - 공병호 (공병호 경영연구소장)



기재지 : 자유공론 기재일 : 2004-12-08 10:22:00 조회수 : 846



2000년 0.2%, 2001년 0.6% 그리고 2002년 0.3%. 독일 경제의 성적표인 경제성장률이다. 거의 제로 성장에 가깝다고 보면 된다. 2000년 10.3%, 2001년 10.4%, 그리고 2002년 12.0%로 거의 변함이 없는 이 숫치는 독일 경제의 실업률 자료이다.

그런데 1970년대 이전까지 독일의 실업률은 0.7%로 거의 완전고용에 가까웠다. 저성장과 고실업이 자리를 본격적으로 자리를 잡게 된 것은 독일에서 70년대 중반 이후라고 보면 된다. 7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실업률은 연평균 3.9%로 그리고 1980년에서 2000년까지 서독의 실업률은 연평균 8%에 이르게 된다. 지금은 두 자리 숫자가 되었다.

한 때 유럽경제를 견인하고, 자동차, 화학, 기계 공업에서 세계를 견인하였던 독일을 두고 영국의 <파이낸셜 뉴스>는 "라인강의 기적은 사라지고 유럽 경제의 환자가 되어 버렸다"는 평을 내리는데 조금도 주저하지 않는다. '왜, 독일이 이 모양이 되어버렸을까?'라는 자성이 튀어나오게 마련이다. 어김없이 '우리는 문제가 없는데 외부 사정 때문에 피치 못하게 그렇게 되었다'는 주장들이 나오게 마련이다. 어느 사회이건 간에 가라앉을 때는 항상 원인을 외부에서 찾는다. 과도한 통일 비용, 세계 경제의 침체, 석유값 인상, 회계부정 사건 등 별별 원인이 다 제시되었다.

시간만 보내면 좋아질 것이다는 막연한 낙관론에 반론을 제기한 기관은 독일 연방은행이다. <위기의 탈출>이라는 짧은 보고서에는 독일경제 위기의 원인과 처방을 이렇게 내리고 있다.

"강력한 재분배 지향인 사회보장제도, 노동시장의 경직성, 기업에 대한 과도한 관료적 규제, 독일 교육 제도의 낙후성 등을 들고 있다. 독일 경제의 저성장 구조의 원인이 결코 단기적인 성격이 아니라는 사실은 과거 50년간의 성장 추세에서 단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1971년 이래로 성장률이 이전에 비해서 급격히 하락하고 있다. 그 하락 추세는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실업률도 급격히 증가해 왔다. 따라서 독일 경제의 저성장, 고실업의 원인은 구조적이고 장기적인 장애물 때문이 아닐 수 없다. 이를 입증해 주는 지표가 성장률과 실업률만이 아니다. 생산성 하락 추세와 노동비용의 증가추세도 이와 비슷하다."

1970년대 이전의 독일 경제와 그 이후의 독일 경제를 갈라 놓는 것은 무엇일까? 개혁이란 이름으로 여러 제도를 바꾸어 가고 있는 한국 사회는 독일의 제도 개혁에서 커다란 교훈을 얻어야 한다. 70년대를 중심으로 독일을 바꾸어 놓은 것은 사상적 토대의 근본적인 차이 때문이다. 70년대 이전에 독일 사회의 운영 원리를 지배하던 사상적 토대는 질서 자유주의에 바탕을 두었다고 보면 된다. 이론적으로 자유시장경제 원리에 바탕을 둔 사상적 토대 위에 경제가 운용되어 왔다. 그런데 1970년대 이후는 이른바 '사회적 시장경제체제'의 구현이란 목표를 하에서 '참여'와 '분배'라는 구호를 제도로 구체화시키는 작업들이 진행되어 왔다. 이를 두고 강원대의 민경국 교수는 지식인 사회에서의 좌파가 득세한데서 그 원인을 찾는다.

"독일 경제의 침체는 70년대 이후 독일 사회가 좌경화된 것과 무관치 않다. 68년 문화혁명 결과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이론적 배경을 지원받으며 학생, 지식인, 정치인 등이 좌경화됐고 이들은 노동자들 지원하며 경쟁의 자유 대신에 결과적 평등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 같은 사회적 분위기는 학자, 기업 경영자의 의욕을 상실케 했고, 사회가 전반적으로 모험을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이면서 성장탄력을 잃어버렸다."

시계(時界)를 뒤로 돌리면 한국 사회가 고민하고 있는 문제들을 이미 30-40여년 전부터 독일이 실천에 옮겨왔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 조합주의 방식으로 나아가고 있는 한국의 노사 환경이나 사학법 개정이나 일부 노동단체의 주장에 흔히 나오는 노동자의 경영참여 아이디어는 이미 독일에서 7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실시된다. 독일은 70년대 중반부터 도입한 '노동자 경영참여제도'를 독일이 여타 자본주의와 뚜렷이 구분되는 자본주의의 꽃이라고 불렀다. 노동자 대표와 주주가 동등한 비율로 감사회를 구성하고 최고경영자의 선출과 회사의 중요한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제도를 말한다. 당연히 기업의 의사결정의 경직성을 낳게 되고, 위험을 무릎써고 과감하게 위험을 감수하는 독일 기업들의 숫자를 줄이게 된다.

독일 노동법은 경영자에게 대항할 수 있는 대등한 자격을 노동자들에게 제공한다는 명분 하에 강력한 산별노조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산별노조의 단체협약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은 없다. 그러니까 기업별 노조 수준에서 노동자들과 경영자가 합의해서 어떤 약속을 하더라도 산별노조 단체협약의 구속을 받게 되어 있다. 독일 기본법에는 산별 단체협약을 위반하는 것은 기본권 또는 인권을 위반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을 정도로 독일의 산별노조는 막강한 권한을 갖고 있다.

그렇다면 1970년 이전에는 어떤 상황이었는가? 1970년 이전에는 노동조합의 힘은 미약한 수준이었과 임금은 시장가격에 엇비슷한 수준에서 결정되었다. 기업별 노사간 협의가 무력화 된 것은 1968년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이론적 뒷받침을 받은 좌파 세력들이 학생들과 노동자들을 본격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얻어낸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독일에서 노동조합의 의사를 반하는 어떤 정치인들도 생존할 수 없을 정도로 산별노조는 막강한 권력을 소유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독일의 노동비용은 세계에서 최고 수준에 도달하게 되었다. 2000년 서독 제조업 분야의 시간 단위당 노동비용은 25.81유로(노임 14.23, 부대비용 11.58)로 프랑스의 18.26(9.46, 8.80), 미국 22.81(15.57, 6.24), 그리고 영국 18.8(13.11, 5.69)이다. 간단하게 이 숫자를 관찰함으로써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직관은 직접 노동비용도 높지만 그보다도 경쟁국보다 부대비용이 휠씬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높은 임금은 노동자들이 전부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노동비용 가운데서 노동자들의 지갑에 들어가는 것은 55.1%이고, 나머지는 각종 사회보장 기여금으로 44.9%가 들어가고 있다.

오늘날 개혁을 열심히 외치는 사람들의 머리 속에는 내놓고 이야기하지 않지만 독일식 모델이 들어 있을 것이다.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 대부분의 이론 사회주의나 현실 사회주의는 실패하고 만 지금 그나마 외형을 유지하고 있는 체제는 독일식 모델이기 때문이다. 일하는 사람들의 벌어들인 소득의 45%를 일하지 않는 사람들이나 자신과 별로 인연이 없는 사람들을 위해 내놓는 체제에서 누가 일을 할려고 하겠는가? 당연히 실업수당이나 사회부조금을 받는 실업자들이 일자리를 얻으려는 의욕이 떨어지게 마련이다. 일자리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손쉽게 사표를 제출하고 나온 다음에 정부로부터 실업수당을 받아서 생활하면 그만이다. 이런 체제하에서 합리적인 인간이라면 자신의 이익에 걸맞게 행동하게 된다. 체제가 게으르고 무능력한 인간을 양산하게 된다.

비단 노동시장에서만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 독일의 교육 제도 역시 70년대 들어서 파 지식인들의 영향력을 크게 받은 분야 가운데 하나이다. 좌파 지식인들은 경쟁을 싫어한다. 경쟁을 비인간적이고 쓸모없는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그래서 그들은 늘 더불어 함께 오손도손 사는 그런 사회를 말하면 그것은 바로 교육 평등이란 이름으로 자리를 잡게 된다. 68년 이후 독일 교육계를 장악한 좌파들은 모든 학생들에게 교육적 강제를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학생간 경쟁도 없애고 학교간 경쟁도 없에게 된다. 그 결과는 오늘날 한국의 평준화가 낳은 결과와 엇비슷한 상황을 낳게 되었다. 민경국 교수는 독일의 교육이 좌파에 경도된 제도가 작동하기 전에 얼마나 경쟁력이 있었는가를 한 가지 흥미 있는 사례를 제시한다. 20세기 초까지만 하더라도 노벨상 수상자 가운데 45%가 독일에서 나왔고 전 세계 자연과학 문헌의 80% 이상이 독일어로 되어 있을 만큼 독일은 학문적 명성이 쟁쟁하였던 곳이다. 그러나 지금 독일은 국제학력 평가에서 최하위 권에 머무는 교육후진국이 되어 버렸다.

정말 잘못된 생각이나 사상은 가난과 빈곤을 낳는다. 이런 점에서 제도 개혁을 시행할 때에 정말 올바른 사상적인 토대 위에서 변화를 시도해야 한다. 선동적인 분위기 속에서 잘못된 사상의 세례를 받은 사람들이 이끄는 개혁은 필연적으로 자유시장경제를 허물고 경쟁을 없애는 쪽으로 나아가게 마련이다. 그 결과는 쇠락과 빈곤이다.

역사적인 사례로부터 배울 수 없는 국가는 자신들의 선택에 대해서 반드시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잘못된 선택에 다른 비용을 면제받을 수 있는 길은 없다. 다만 비용을 지불하는 타이밍이 문제가 될 뿐이다. 이런 면에서 나는 한국인들이 좀더 현명하기를 바란다. 무지와 독선 그리고 오만함이 가져올 수 있는 폐해를 잘 알고 합당한 선택이 있기를 바란다. 이런 점에서 독일의 역사적 경험은 우리들에게 무척 큰 교훈을 주고 있다.
추천6

댓글목록

realpine님의 댓글

realpin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다맞고 다 옳은 말씀입니다.
그런데 과연 독일 만큼 소득재분배를 하고 나서나 이런 주장을 펴는것이 옳은것 같군요.
간단한 몇가지 실질적인 것만 비교하고 싶습니다.

기본적인 삶의 질

1. 독일: 세금을 내든 말든 킨드 겔트, 보눙겔트를 누구에게나 준다. 모든 교육은 무상이다.
            전국민이 의료보험 혜택이 있다. 
  한국:  일하고 싶어도 못하면 길거리로 나가야한다. 아빠는 돈버는기계 같은 느낌이든다.
            돈많이 벌면 세금적게내는 이점은 있으나 개인이 모든 것을 책임진다. 못하는사람은
            노숙자가 되도 누구하나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 노숙자에게 물어보라 대한민국이
            진정 자랑스런 조국인가.
2. 독일: 전국 곳곳이 자전거 도로가 있고 위락시설이 어딜가나 있다. 마음대로 운동을 할수있다.
    한국: 한번 자연과 접하려면 고속도로에서 시간을 다 보내고 돈주고 고생하러 다니는 느낌이
            들 정도이다.

남미에서 소득의 불균형으로 얼마나 큰 사회적 폐해가 큰지를 보여줍니다. 그 넓은땅에
많은 자원을 가진 남미에 어린이 유괴사건이 가장많고 곳곳에 게릴라들이 봉기하고 사람들은
모두가 가난에 찌들어 살고 있습니다.

그나마 우리는 냉전시절 미국쪽에 서다보니 일본과 더불어 다른 동유럽이나 인도 중국등 소위사회주의 국가들 보다 더 잘살게 된것은 사실이나 다 잘 살면 뭐합니다.
이웃이 옆에서 굶어죽어도 누구하나 도움을 줄수 없다면 그 굶어 죽는 이웃이 내가 될수도 있다면
그것이 결코 좋은 삶이라고는 말할수 없을 것입니다.
독일이란 나라는 소위 개발 국가입니다. 개발국가의 성장율이 0 일지라도 개발 도상국은 아직 그에 이르려면 많이 멀었지요.
독일의 고민은 새로운 차원의 개발입니다. 즉 인플레 만큼만 성장할 것인지 더 성장 할것인지 하는 문제이고 우리는 아직도 개발국가로 가는 길이 많이 남아있습니다.
그리고 아직도 우리는 저임금의 고효율의 이점이 많이 있습니다. 독일처럼 성장하고 나서 분배냐 성장이냐 고민해야 하지 않을까요.

Okdol님의 댓글

Okdol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공병호 소장이야 말로 독일을 껍데기로만 이해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람 중에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소득의 37-55퍼센트가 세금으로 나갈 지언정 그것이 사회의 열악한 환경에 있는 사람들에게 쓰여지기에 당연히 지출한다고 하는 그런 마음자세가 없다면 사회는 어차피 비정상적으로 돌아갈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또 왜 공 소장은 독일만 언급하는지 그 이유도 알 수 없습니다. 스칸디나비아 반도국가들도 독일과 마찬가지로, 아니 그이상이 세금으로 빠져나가는 것은 왜 언급하지 않는지.
 
공 소장에 의견의 근저를 살펴보면 직장을 잃거나, 직업을 구할 수 없는 처지에 있는 장애자들이나 사회보조금을 받아야만 살아갈 수 있는 사람들은 모두 사회의 불필요한 존재라고 여기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역시 신자유주의적 경제학을 추종하는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타인에 대한 배려나 사회주의적 소유 공유라는 차원을 전혀 의중에 두고 있지 않은 것 같습니다.
사회적 불평등(혹은 빈부격차)이 확산되면 될수록 위 댓글에서 잘 언급해주신 것처럼 사회적 통합에 드는 부대비용들도 만만치 않다는 것, 그리고 내수시장이 점점 얼어간다는 것을 의식하지 못하는, 실로 하나만 보고 - 그것도 껍데기만- 둘은 볼 줄 모르는 근시안적 사고가 아닐 수 없습니다.

Grund님의 댓글

Grund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자유총연맹'에서 발행하는 '자유공론'에 실었다는 것 자체부터 그런 의도가 숨겨져 있다는 것을 알수 있겠지만.. ('자유총연맹'이라는 단체는 아주 재밌고 무서운 단체인 듯 합니다..관심 있는 분들은 관련기사나 분석기사가 있을 때 마다 읽어 보시길..)

글 중에서

"독일의 교육 제도 역시 70년대 들어서 파 지식인들의 영향력을 크게 받은 분야 가운데 하나이다. 좌파 지식인들은 경쟁을 싫어한다. 경쟁을 비인간적이고 쓸모없는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이런 글은 읽을 때 아주 조심해야 합니다.

어떤 구체적 자료나 인물을 언급하지 않고 바로 가치관을 실어서 일반화를 해버리고
단정을 지어 버리는 글이라서 객관적이지 않습니다.

'-믿어 의심치 않는다'라는 표현까지 누가 했는지 도대체...프랑크푸르트학파 중 누구를 말하는지..

알 수 없는 일반화 뿐이군요..

Grund님의 댓글

Grund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저도 좀 어이가 없어서 올려본 글입니다.


문제는 한국의 박사급 인력중에 특히 경제학부분은 미국에서 공부하신 분들이 대부분이고

각종 국립, 사립 연구소와 대학교에서 활동하시면서

정확한 내용으로 토론하는 분위기가 아니라

위의 글처럼 어떤 특정한 목적으로 사실을 비틀려고 하고 여론을 주도하려 한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정치권과 공권력의 담당자들은 대부분 경제문제에 대한 자문과 인사추천을 이런 사람들로

한정된 범위에서 이루어진다는 사실입니다.


뭘 좀 아는 사람이 정말 무섭다는 생각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정말 그렇게 믿고서 공병호 연구소장이 이렇게 썼는지도 의심이 듭니다.


정말 그렇다면 그의 학문적 수준이 의심이 되며

알면서도 일부러 사실을 왜곡하는 것이라면 (학계에서의 입지다툼이든 어떤 댓가를 바라고

한 것이든) 그는 정말 무서운 사람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우려되는 사실은 우리나라는 아직 이런 경제학 박사가 더 많다는 사실입니다.

Grund님의 댓글

Grund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아 그리고 댓글 오류 수정입니다.

1. 정말 그렇다면 ---> 정말 자신의 글이 옳다고 믿으며 썼다면

2. 본겔트는 독일내 거주민이면 국적에 관계없이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신청자격이 있지만
    킨더겔트는 독일내 거주민이고 국적에 상관없긴 하지만 납세자로 한정을 하고 있습니다.
    (논지에 별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정확하게 해야 할 것 같아서..)

Markus님의 댓글

Markus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이런 식의 논리를 일단 자기 입맛에 맞는 결론부터 내려놓고 그 결론에 맞는 적당한 증거(?)들을 모아서 짜집기 하는 '조선일보'식 논리라고들 하지요. ^^;; 특히 그 증거(?)라는 것들에 '좌', '사회주의' 이런 단어가 들어 있으면 더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해야만 하겠죠.
이런 글이 혹시 영문으로 번역되어 외국인들에게도 읽혀질까 두렵습니다.

[자유투고] 자유·토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7060 강대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923 10-20
17059 유학가고파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771 12-07
17058 서정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70 12-28
17057 피의달빛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64 02-02
17056 남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919 09-17
17055 베를린벙커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54 10-12
17054 Xdxxx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277 12-12
17053 미애러브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45 05-05
17052 야간비행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84 08-22
17051 강대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764 10-23
17050 강대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03 12-03
열람중 Grund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00 12-31
17048 바람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62 04-08
17047 Jeung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921 04-12
17046 하일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31 11-26
17045 서동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87 12-17
17044 베를린벙커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72 11-12
17043 민자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843 02-10
17042 Hojji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85 05-25
17041 여름신기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42 09-28
게시물 검색
이용약관 | 운영진 | 주요게시판사용규칙 | 등업방법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비밀번호분실/재발급 | 입금계좌/통보방법 | 관리자문의
독일 한글 미디어 베를린리포트 - 서로 나누고 돕는 유럽 코리안 온라인 커뮤니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