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동포 미디어 베를린리포트

Home > 독어문답 목록

몇가지 단어와 표현 질문합니다~

페이지 정보

Yalu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05 13:04 조회2,796

본문

1. 효라는 단어를 독일어로 kindliche Pietät 으로 표현하면 맞나요?
 
2. Geschäft라는 단어가   혹시 물건을 파는 곳이라는 총제적 의미로 Kaufhaus나 대형마트를 대신 할 수 있는 단어로 사용가능한가요? 혹시 그렇지 않다면 어떤 단어가 가능한가요?
 
3. 혹시 독일사람들은 설겆이 할때 세제를 씻어내지 않나요?
    그런 자료를 읽은 적이 있는데 맞는지 궁금하구요
    Sie trocknen ab, ohne bis zum Trocknen liegenzulassen.
    (그들은 마를 때 까지 두지 않고 물기를 닦는다)
    위 문장의 단어표현이나 문법적 오류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4. Die Kulturen von dem Land zu wissen ist wichtig, damit man das Land gut versteht.   (그 나라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나라의 문화를 아는 아는 것이 중요하다.)  이문장이 문법적으로나 표현에 있어서나 오류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이상 4가지 질문에 답변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추천 0
베를린리포트
목록

댓글목록

설월님의 댓글

설월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지금 물어보니 Kindespflicht라고 종종 쓴다고 하네요.. ㅎㅎ<div>2.Geschäft가 '가게들'이나 '상점들'이라는 의미로 쓰이는 건 자주 봐왔으나 Kaufhaus나 대형마트같은 의미로 쓰이는 건 거의 못 본 것 같은 느낌이 들지만.. 말씀하시는 의미를 굳이 강조하시고자 하시는 게 아니시라면&nbsp;Geschäft라고 쓰셔도 되지 않을까요?</div><div>신문을 읽거나 뉴스를 보다보면&nbsp;Geschäft는 '상업'이나 '상업거래'쪽의 의미로도 많이 쓰인다는 걸 알 수 있었지만, 말씀하신 의미로도 충분히 쓰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div><div>'마트'나 '대형마트'같은 걸 생각하니 떠오르는 건 Handelszentrum이라는 단어가 생각나네요..</div><div>3.오류없는 문장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일반화는 위험하지만, 지금까지 같이 살아왔던 모든 독일 아이들이 말리지 않고 물기를 닦아내곤 했던것을 생각하면.. 대세(?)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네요..</div><div>4.Um ein Land richtig zu verstehen, ist das Verstehen der Kulturen von dem Land wichtig. ~를 하기 위해.. 라는 구절을 강조하고 싶어서 um...zu를 써봤습니다..</div><div><br></div><div>그럼,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div>


Yalu님의 댓글

Yalu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DIV>아 그리고 독일에서는 대체로 집안으로 들어갈 때 신발을 벗고 들어가나요?</DIV>
<DIV>제가 잠시 머물렀던 곳은 벗고 들어가긴 했는데 대체로 신고 들어 가는 경우가 많은지 궁금하네요~</DIV>


목로주점님의 댓글

목로주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의 댓글

<DIV>빙문객의 경우 신을 벗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친한 사이에서는 신을 벗습니다. 주인이 신고 있어도 된다고 해도 '내가 편해서 벗는다'하고 양해를 구하거든요. </DIV>
<DIV>&nbsp;</DIV>
<DIV>체르노빌 사고가 나기 전까지는 실내화와 실외화의 구분이 없이 집에서 신을 신고 사는 문화였다고 알고 있습니다. 아침에 신은 신을 침대로 들어갈&nbsp;때 비로서 벗었다고요. </DIV>
<DIV>&nbsp;</DIV>
<DIV>그런데 위생, 청결의 개념으로 실내화를 따로 구비해 신던 소수의 문화가 체르노빌 사고이후 대기 중의 방사능 분진이 신에 묻어&nbsp;있다라는 경각심에서 집에 들어갈 때 실내화로 갈아신는 집이 다수로 바뀌었다고 해요. 그러나 그건 집주인 사정이고 방문객에게 신을 벗으라고 요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nbsp;터키나 일본, 태국 등의 신벗는 문화는 너무나&nbsp;유명하여 신을 벗는 문화권에서 온 사람집을 방문할 때 신을 벗고 들어가는 예의를 지키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nbsp;</DIV>


Home > 독어문답 목록

게시물 검색


약관 | 사용규칙 | 계좌
메뉴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