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동포 미디어 베를린리포트
서브화면 상단메뉴
커뮤니티 새아리 유학마당 독어마당
현재접속
112명
[유학문답] Aller Anfang ist schwer. 여기서 도움을 얻으신 분은 유학 오신 후 유학준비생들을 도와주시길. 무언의 약속! 구인구직이나 방 혹은 연습실을 구하실 때는 이곳 유학문답이 아니라 다른 게시판을 이용하세요. - 유학문답에 글을 올리고 다시 같은 글을 다른 곳에 올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데 이곳에 올린 글을 다시 다른 게시판에 올리거나, 다른곳의 글을 이곳에 중복게재하시면 안됩니다(도배금지). - 연습실 혹은 숙소를 구한다는 글은 벼룩시장게시판을 이용하세요

한국 학사 졸업 후 독일 학사 지원 시 수능 점수? 대학 학점?

페이지 정보

작성자 S2나비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6건 조회 755회 작성일 25-05-07 15:14 답변완료

본문

안녕하세요?
저는 한국 일반계고 졸업, 수능 성적 보유, 한국 4년제 대학 졸업자입니다.
지금 한창 독일 대학 겨울학기 입시 시즌인데요, 저 역시 학부 연계 전공으로 석사 지원하는 중입니다.
그러나 저는 국내 학부 졸업 후 거의 5년이 지나 독일 석사에 지원하는 케이스입니다. 그러다 보니 제가 석사에 합격한다 하더라도 고민이 많습니다. 바로 학부를 졸업하고 석사를 이어가는 학생들에 비해 이미 흐릿해진 전공 지식과 외국어로서의 독일어를 구사하는 제가 심도 있는 석사 과정을 잘 해 낼 수 있을지 싶습니다. 물론 이 모든 것들은 합격 후에 걱정하라고 조언하실 거죠..? :)

독일에서 석사가 아닌 학사부터 시작해 보고 싶은 욕심도 있습니다. 향후 해당 전공 연구 쪽으로 진로를 생각하고 있어 전공 지식에 대한 깊이, 충분한 공부 기간이 있어야 할 듯해서요(독일에서 학사를 하게 된다면 한국 학부와 다른 전공으로 지원할 생각입니다). 그치만 독일에서 학+석사한다면 적어도 30대 중반... 나이가 늘 마음에 걸립니다.

- 한국 4년제 학사 졸업 후 독일 대학 학사를 지원하는 경우, 독일 대학에서 선발 기준으로 보는 것이
저의 수능 점수(평균 등급?)인가요 아님 학부 성적인가요? 대학마다 기준이 다 다른가요?
- 학사 졸업자는 그 전공과 관계 없이 독일 대학의 모든 학사 전공에 지원 가능한 것 맞나요? 궁금합니다.
참고로, 독일어와 영어 능력은 대학 입학 기준을 충족합니다.

미리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추천 0

댓글목록

icemint님의 댓글

icemint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채택된 답변입니다

학부 졸업 시 학부 성적이 우선됩니다. 성적만 된다면야 아무 전공이나 학사 지원 가능해요.
다만 생각하셔야 할 것은 개인역량에 따라 정규학기 안에 학업을 못 마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연구 언급하시는 걸 보니 공대나 자연대 같은데 독일은 학부에서 정규학기 넘어가는 경우가 허다해요 (특히 공대, 독일학생들도 마찬가지입니다.)

S2나비잠님의 댓글의 댓글

S2나비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그렇군요. 소중한 답변 감사합니다 ^-^
제 전공이나 관심 분야는 M.A. 입니다만, 말씀하신 것처럼 독일 학생들도 초과 학기 다니는 경우가 허다한데, 저 역시-전공에 무관하게-정규 학기에 학업을 딱 마친다는 게 힘들 수 있다는 걸 염두에 둬야겠습니다.
학부 성적은 percent로 따질 경우 100 기준 대략 96~96.5 정도인데 이 정도가 독일에서는 어느 정도에 위치하는지 가늠이 잘 안 되네요. ㅎㅎ

icemint님의 댓글의 댓글

icemint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아주 좋은 점수예요! 바이에른 공식이라고 네이버에 치면 나오는데, 그거대로 계산하면 거의 맞아요! 한 번 계산해보세요 ㅎㅎ 1점대 초반일 거 같습니다 ㅎㅎ 제가 1,5였는데 89퍼센트 정도였거든요. 그리고 저도 아랫분 말씀처럼 전공연계면 무조건 석사 추천드립니다. 저는 학사 막학기이고 석사 예정인데, 학사과정이 너무너무 힘들었어요. 근데 학사 석사 둘 다 독일에서 한 사람 말 들어보니 대부분 석사가 훨씬 용이했다고 하더라구요.

S2나비잠님의 댓글의 댓글

S2나비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그간 얼마나 힘드셨을지 상상도 안 됩니다... 마지막 학기까지 오신 것도 대단해요! "한국인이 한국에서 학부 졸업하는 것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독일에서 학부 졸업하는 게 힘들다"라는 평을 많이 들었어요... 학사 지식이 부족한 것 같아 자꾸만 위축됩니다. 그치만 뭐 부족한지 아닌지는 그들이 판단해 주겠죠 ㅎㅎㅎ
정성어린 답변 감사합니다. 막학기 무사히, 정시에 잘 마치시길 바라며 :) 원하는 곳에서 원하는 석사 과정 순탄히 밟으시길 기원합니다!

  • 추천 1

독일수학자님의 댓글

독일수학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전공을 바꾸신다면 학사 지원도 하나의 옵션인데, 전공연계라면 석사 지원을 추천드립니다. 저 역시 학부졸업후 약 6년이 지난 시점에서 석사를 시작했고, 30대 중반에 졸업했어요. 학부 성적이 좋으신걸 감안하면 석사도 무난하게 해 내실 수 있을듯 해요.

S2나비잠님의 댓글의 댓글

S2나비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아직 석사 합불 여부도 모르는데 벌써 잘할 수 있을까 걱정합니다.. ㅠㅠ 조금 늦은 나이에 그것도 외국어로 논문은 커녕 매일 수업은 따라가려나... 이러고 있는데 해낼 수 있다고 해 주시니(사실 그렇지 않더라도) 기분은 좋습니다!
네, 말씀하신 것처럼 우선 학부와 연계되는 석사 지원에 집중하려고 합니다.
지나치지 않고 조언해 주셔서 정말정말 감사합니다!!

유학문답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31176 승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3 25-06-13
31175 JJY0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8 25-06-12
31174 160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6 25-06-11
31173 사카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 25-06-11
31172 jiiiiiii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6 25-06-11
31171 베르리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7 25-06-09
31170 일이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71 25-06-09
31169 rlrlrldl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48 25-06-07
31168 hanh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33 25-06-07
31167 Gene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8 25-06-07
31166 폴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19 25-06-07
31165 쇠푸른펭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17 25-06-07
31164 Gene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 25-06-06
31163 올리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2 25-06-06
31162 신발끈도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8 25-06-05
31161 icemint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 25-06-04
31160 djvoalff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2 25-06-04
31159 Maybe777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68 25-06-04
31158 냥이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5 25-06-03
31157 seize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 25-06-03
게시물 검색
 
HNO Privatpraxis Frankfurt
약관 | 운영진 | 주요게시판사용규칙 | 등업방법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비밀번호분실/재발급 | 입금계좌/통보방법 | 관리자문의
독일 한글 미디어 베를린리포트 - 서로 나누고 돕는 유럽 코리안 온라인 커뮤니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