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저는 항상 15유로 나가던데??DB거든요??어찌된일이죵??
페이지 정보
작성자 송형주이름으로 검색 댓글 7건 조회 3,681회 작성일 02-08-28 02:18본문
댓글목록
로라님의 댓글
로라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한국에서 수수료 제하구요, 독일은행에서도 또 한번 수수료 제합니다^^
그니까 2번 수수료 내시는 거랍니당.
정확하게님의 댓글
정확하게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알겠는데요. 독일에서 수수료 제할때 2.5하는거 말고 또 왜 20오리로를
따로 제하는 건가요?.. 로라님! 죄송한데 좀 자세히 가르쳐 주세요. 그리고
지로콘토랑 슈파콘토랑의 차이도 가르텨 주시겠아요?.. 감사할게요
정보님의 댓글
정보이름으로 검색 작성일슈파콘토는 돈을 넣어뒀을때 붙는 이율이 정확히 기억은 안나는데 꽤 높은대신 1000마르크를 항상 적립금으로 놔두어야 합니다. 통장개설하고 카드를 두개주더군요. 지로콘토는 1% 이율을 가지지만 적립금 필요없고 이체카드 하나만 달랑 주죠. 하지만 송금 수수료도 낮고 독일내에서의 송금에는 수수료가 없더군요.
정확하게님의 댓글
정확하게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그렇담 저도 지로 콘토인데요.. 정말 앟 수가 없네요.. 20오이로의 정체 말이죠..
저 역시 학생 신분으로 콘토를 연것인데.. 매번 20오이로면 결코 작은 돈이 아닌데.. 에구 답답하네요.. 어쨌든 정보님의 답변 고마워요.. 늘 건강행복하세요^^
우물쭈물님의 댓글
우물쭈물이름으로 검색 작성일한국에서 송금되어 오는 돈에 대한 수수료는 은행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Sparkasse는 30 마르크, Deutsche Bank는약 7마르크정도인걸로 압니다. City Bank의 경우 한국에서도 동은행에 계좌를 가지고 있을 경우 학생의 경우는 수수료가 없습니다. 씨티은행에 계좌를 만들려고 할 때 정기적으로 송금을 받는지 아니지 물어 올 때, 아니라고 하면 계좌를 만들어 주지않습니다. 계좌를 만든후에는 한국에서 정기적으로 송금을 받던 아니던 개의치 않는 것 같습니다.타은행은 모르겠지만Sparkasse의 경우 Sparbuch에 일정의 예치금이 늘 있어야 하는 건 아닌 것 같구요, 그 대신 방세나 전화요금 등등의 송금을 할려면 따로 수수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yong님의 댓글
yong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저는 Sparkasse를 이용하는데 수수료는 송금액이 얼마냐에 따라 다릅니다.
은행에서 수수료 Tariff를 달라고 하면 받으실 수 있을겁니다.
Deutsche Bank가 수수료는 좀 더 싼 것 같구요, 혹시 사는 도시에 City Bank가 있으면 한국에서 통장을 만들어 카드로 독일에서 인출하는 방법을 이용하시는게 가장 좋을 듯 합니다.
쮸삐님의 댓글
쮸삐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city bank 보단 그냥 송금하는게 저 저렴 하더군요..
한때 저도 한국 시티 은행 카드로 돈을 인출해서 썼는데 알고보니 환율이 많이 차이 나더군요..100만원 정도부터 송금이 훨 저렴하답니다....